웅석사랑채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웅석사랑채

메뉴 리스트

  • 홈
  • 단편소설
  • 여행기
  • 평론 소설
  • 평론 시
  • 잡문
  • 자작시
  • 기타
  • 분.. (785) N
    • 단.. (133)
    • 기.. (161)
    • 잡.. (109)
    • 동.. (3)
    • 서.. (179) N
    • 자.. (8)
    • 시.. (190)

검색 레이어

웅석사랑채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산불 유감>

    2025.03.27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9

    2025.03.27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8

    2025.03.26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7

    2025.03.24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6

    2025.03.23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5

    2025.03.22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4

    2025.03.21 by 웅석봉1

  • <난중일기> 103

    2025.03.20 by 웅석봉1

<산불 유감>

산불 유감(有感) 2025년 3월 21일 오후에 내 고향(故鄕)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시작된 산불이 전국으로 펴지고 있어, 초 비상(非常)이다. 이 산불은 하동을 비롯하여 경북 의성, 안동, 청송, 영덕, 영양, 전북 무주 등, 전국적(全國的)으로 번져 수십 명의 인명 피해와 수천 명의 이재민(罹災民)이 발생하였다.  이 산불로 경북 의성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 681년 의상대사 창건)와 사찰 내의 가운루(駕雲樓, 1668년 건립)와 연수전(延壽殿, 1904년 중건) 등 국보급 국가 문화재(文化財)가 전소되었으며,  인근 단촌면의 100년 이상 된 하화교회와 청송 심씨 시조인 심홍부(沈洪孚)의 묘재각(墓齋閣)인 보광사(普光寺, 668년 의상대사 창건) 만..

잡문 2025. 3. 27. 14:30

<난중일기> 109

●O 다리와 × 다리는 어떤 모양일까? 양다리를 가지런히 붙이고 섰을 때, 발뒤꿈치를 붙여도 양 무릎 사이가 손가락 세 개 이상 벌어진 상태를 O 다리(안굽이무릎)라고 한다. 반대로 무릎은 붙는데 좌우 복사뼈가 손가락 세 개 이상 떨어진 상태를 × 다리(밖굽이무릎)라고 한다. O 다리나 × 다리의 경우 혈액(血液) 순환 장애나 골격(骨格)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후(生後)부터 두세 살 무렵까지는 O 다리가 일반적이다. 그 후 × 다리가 되었다가 초등학생(初等學生) 무렵 쭉 곧은 일자 자리로 자라는 경우가 많다. 초등학생 이후에도 O 다리나 × 다리인 사람은 다리 관련 질환(疾患)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굽은 정도가 심할 때는 정형외과(整形外科)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자. 뼈가 변형되는 구루병이나 골..

서평 2025. 3. 27. 12:26

<난중일기> 108

●내성 발톱은 왜 생길까? 잘못된 방법(方法)으로 발톱을 깎거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는 것이 원인이다. 발톱을 너무 바짝 깎으면 발톱에 힘이 가해졌을 때 발톱 끝의 피부가 들뜰 수 있다. 발톱 사이 피부가 들뜨면 발톱이 똑바로 자라지 않고, 양 끝이 안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내성(內省) 발톱이 생길 수 있다.  발톱 길이는 엄지발톱과 같거나 1밀리미터 정도 긴 것이 적당하고, 모서리가 둥글지 않은 네모 모양으로 자르는 것이 좋다. 발 모양(模樣)에 맞지 않는 불편한 신발을 신거나 무지외반증(拇趾外反症)이 있으면 둘째 발가락으로부터 엄지발가락에 힘이 가해진다. 무리하게 힘이 가해지면 발톱이 곧게 자라지 않고 양 끝이 안으로 말려 들어간다. 내성 발톱이 있으면 그 부분의 통증(痛症)으로 자세나 걸음걸이가..

서평 2025. 3. 26. 12:30

<난중일기> 107

●쥐는 왜 날까? 주로 장딴지에 생기는 근육 경련(痙攣)으로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격렬한 운동을 하다가 갑자기 다리가 저리며 아픈 경험을 한 사람이 꽤 있을 것이다. 근육이 수축(收縮)되어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장딴지 외에 발바닥과 팔꿈치, 넓적다리 등에도 쥐가 날 수 있다. 심지어 자는 동안에도 쥐가 날 수 있다. 쥐가 나는 원인은 다양한데 주로 마그네슘 부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근육(筋肉)과 뼈가 만나는 부분에 있는 근육의 신축성(伸縮性)을 확인하는 센서가 마그네슘 부족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쥐가 난다. 당뇨병(糖尿病) 등의 원인으로도 쥐가 날 수 있고 대사 증후군과 열 스트레스 등의 질환, 임신(妊娠)과도 관련이 있다. 평소에 마그네슘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먹는다. 또한 운동(運動)하..

서평 2025. 3. 24. 15:23

<난중일기> 106

●발바닥의 장심은 왜 있을까? 장심은 몸의 무게를 떠받치는 지면에서 오는 충격을 완화해 주기 위함이다. 맨발로 걷고 난 뒤 발자국 모양을 보면 가운데 부분만 찍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발바닥에서 움푹 들어간 이 부분을 장심(掌心)이라고 한다. 발바닥은 엄지발가락, 새끼발가락, 발꿈치를 꼭짓점으로 삼아 아치를 그리며 몸의 무게를 지탱한다.  장심은 지면에서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흔히 장심이 없는 발을 평발이라고 한다. 정확한 용어는 강직성 편평발이다. 평발인 사람은 충격이 발바닥 전체에 가해져 통증과 피로가 쉽게 온다. 갓 태어난 아기의 발바닥에는 장심이 없다. 서거나 아장아장 걷는 과정에서 장심이 점차 발달한다. 어른도 항상 자동차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거의 걷지 않으면..

서평 2025. 3. 23. 13:38

<난중일기> 105

●기생충은 어떤 생물일까? 인간과 동물에 빌붙어 사는 아주 작은 생물이 기생충(寄生蟲)이다. 이 벌레는 사람과 동물의 몸속에 들어붙거나 입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가 사람과 동물(動物)을 먹는다. 기생충이 보금자리로 삼은 사람이나 동물을 숙주(宿主)라고 하는데, 기생충은 이 숙주가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 촌충(寸蟲)의 일종인 광절열두조충(廣節裂頭條虫)은 주로 설사를 일으킨다. 기생충 중에는 설사를 일으키지 않고 변비(便祕)를 일으키는 회충(蛔蟲)도 있다. 고래회충은 인간에게 기생하지 않고 어패류(魚貝類)에 기생했다가 인간이 섭취하면 식중독의 원인이 된다.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입으로 들어가는 기생충이 가장 많다. 날생선이나 고기, 채소(菜蔬)에는 대개 기생충이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 개와 고양이..

서평 2025. 3. 22. 14:49

<난중일기> 104

●대변 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기생충(寄生蟲)이나 세균(細菌)이 있는지, 질병(疾病)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대변 검사의 종류에는 분변 잠혈 검사>와, 장내 세균 검사>가 있다.  대변이 장을 통과할 때 장 조직과 마찰을 일으켜 피가 날 수도 있는데, 이것을 알아보는 검사가 분변 잠혈(潛血) 검사>다. 이 검사를 통해 대변에 피가 섞여 있는지 확인해서 대장암(大腸癌) 등 각종 질병을 발견할 수 있다.  장내(腸內) 세균 검사>로는 식중독의 원인인 대장균(大腸菌)>과 이질(痢疾), 살모넬라균 등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식중독(食中毒)에 걸리면 심한 구토(嘔吐)와 설사(泄瀉), 복통(腹痛) 등이 발생해 고령자나 몸이 약한 사람은 사망할 수도 있다.  학교나 회사 구내식당(構內食堂) 등 대량 급..

서평 2025. 3. 21. 14:43

<난중일기> 103

●치질은 왜 생길까? 엉덩이에 과도한 부담을 주면, 항문(肛門)이 붓거나 헐면서 치질(痔疾)이 생긴다. 두 발로 서서 걷는 인간은 엉덩이가 심장(心臟)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 피가 고이기 쉽다. 태생적으로 치질에 걸리기 쉬운 생물이다. 대변을 내보내기 위해 괄약근(括約筋)에 무리하게 힘을 주거나 배탈이 나서 항문에 부담을 주면, 치질에 걸릴 수 있다. 치질은 크게 항문이 붓는 치핵(痔核)>, 딱딱한 대변이나 설사로 항문이 찢어지며 생기는 치열(痔裂)>, 항문 주변에 세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치루(痔漏)>, 이렇게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치루>는 남성에게 많고 치열>은 여성에게 많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 치질은 약물(藥物)로 치료할 수 있지만, 증상이 악화하면 수술(手術)이 불가피하다. 치질이 생기면 바로 ..

서평 2025. 3. 20. 14: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99
다음
TISTORY
웅석사랑채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