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화은의 <산나물>

시평

by 웅석봉1 2023. 6. 1. 10:19

본문

<산나물>

 

시집 온 새댁이 산나물 이름 서른 가지 모르면 그 집 식구들 굶어 죽는다는데//

 

-가죽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오가피 참나물 참취 곰취 미역취 개미취 머위 고사리 고비 돌나물 우산나물 쇠뜨기 쇠무릎 원추리 방아풀 메꽃 모싯대 비비추 얼레지 홀아비꽃대 노루오줌 환삼덩굴 마타리 상사화 꿩의다리 윤판나물 자리공//

 

촌수 먼 친척 같기도 하고 한 동네 동무 같기도 한 귀에 익은 듯 낯선 이름들/ 가난한 가장의 착한 반려자처럼 덩그러니 밥 한 그릇/ 고기반찬 없는 적막한 밥상을 사철 지켜 주던,//

 

생으로 쌈 싸 먹고 무쳐 먹고 국 끓여 먹고/ 말렸다가 나물 귀한 겨울철 묵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그 성질 마냥 착하고 순하기만 한 것은 아니어서//

 

홀로 견뎌 낸 산속 소태 같은 세월/ 어르고 달래어 그 외로움의 어혈을 풀어 주어야 한다/ 독을 다스려 약으로 만드는 법을 이 땅의 아낙들은 모두 알고 있으니/ 간나물 한 접시보다 산나물 한 젓가락이 보약이다/ 조선간장 파 마늘 다져 넣고 들기름 몇 방울 치면 그만이다/

 

먹고 사는 모든 일에 음양의 조화가 있듯/ 음지에서 자란 나물과 양지 나물을 함께 섞어 먹는 일/ 남과 여가 한 이불 덮고 자는 일과 다르지 않으니/ 이 모든 이치가 또한 손 안에 있다/ 손맛이다/ 여자의 맛이며 아내의 맛이며 어머니의 맛이다/ 삼라만상의 쌉싸름 깊은 맛이 모두 여기에 있다.//

 

이화은 시인의 <산나물> 전문

 

 

<어설픈 해설>

 

내가 즐겨 먹는 음식이 비빔밥인데 그중에서도 산나물 비빔밥이 최고다. 우선 나물에 간장 고추장 조금 치고 들기름 듬뿍 넣어 나물부터 비비고 나서 밥을 조금 넣고 다시 비빈다. 그러면 그 맛은 천하제일이다.

 

여기 이 시에는 시집 온 새댁이 왜 산나물 이름 서른 가지를 모르면 그 집 식구들 굶어 죽는다고 했을까? 과장이겠지. 아니다. 그 옛날에는 먹을 것이 없었다. 특히 봄이면 춘궁기라 하여 더욱 그렇다.

 

그러나 봄은 새 생명의 계절이다. 그래서 봄이면 산에 올라 그 산에서 돋아나는 풀을 뜯어 먹고 살았다. 그래서 시집온 새댁은 적어도 산나물 서른 가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는 말이겠다.

 

가죽나무. 엄나무를 비롯하여 참취. 곰취. 개미취를 거쳐 원추리. 비비추. 자리공까지 가히 서른 가지 산나물을 열거하고 있다. 그만큼 많은 것이 산나물이라는 이야기다. 이른 봄날 산에 가면 땅에서, 온갖 나뭇가지에서 새로 돋아나는 풀과 잎들이 지천인데 모두가 먹거리 아니겠는가.

 

그런데 그 산나물은 먼 친척 같기도 하고 한 동네 동무 같기도 하고 한 귀에 익은 듯 낯선 듯하다만, 가난한 가장의 착한 반려자처럼 덩그러니 밥 한 그릇 고기반찬 없는 적막한 밥상을 사철 지켜 주던 시절이니……이런 산나물이 얼마나 고마운가.

 

이런 산나물을 생으로 쌈도 싸 먹고, 무쳐도 먹고, 국도 끓여 먹고, 말렸다가 나물 귀한 겨울철에 묵나물로 먹기도 하였지. 하지만 그 성질이 마냥 착하고 순하기만 한 것은 아니어서, 홀로 견뎌낸 산속의 쓰디쓴 소태 같은 세월을, 어르고 달래어서 그 외로움의 어혈을 풀어 주어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독을 다스려 약으로 만드는 법을 이 땅의 아낙들은 모두 알고 있나니…… (?)나물 한 접시보다 산나물 한 젓가락이 보약이다.

 

먹고 사는 모든 일에 음양의 조화가 있듯, 음지에서 자란 나물과 양지 나물을 함께 섞어 먹는 일, 남과 여가 한 이불 덮고 자는 일과 다르지 않으니, 이 모든 이치가 또한 이 손안에 있나니……

 

그것이 바로 손맛이요, 여자의 맛이요 아내의 맛이요 어머니의 맛이다. 삼라만상의 쌉싸름 깊은 맛이 모두 여기에 있나니……~ 거룩한 산나물이여. 영원하여라! 그리하여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라.

 

 

이화은 시인은 1947년 경북 경산 출신으로 인천교육대학교와 동국대 예술대학원을 졸업하고 1991월간문학신인상으로 등단. 시집으로 이 시대의 이별법』 『나 없는 내 방에 전화를 건다』 『절정을 복사하다』 『미간』 『절반의 입술등이 있고 시와 시학상 수상 포엠토피아 편집 주간을 역임하였다.

 

'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형만의 <낙지볶음>  (3) 2023.06.04
맹문재의 <감자떡>  (1) 2023.06.03
정호승의 <산낙지>  (2) 2023.05.30
문효치의<송편>  (1) 2023.05.29
김종길의 <칼국수>  (1) 2023.05.2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