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 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 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밖에 나가디두 않구 자리에 누어서,
머리에 손깍지벼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 올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 스스로 화끈 낯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또 눈을 떠서 높은 턴정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때 나는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 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여 여러 날이 지나는 동안에,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은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꿇어보며,
어니 먼 산 뒷옆에 바우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어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백석 시인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전문.
<어설픈 해설>
시의 제목부터 수상하다. 신의주 남쪽의 버드나무라는 고을 어느 곳에, 박시봉이란 사람의 사랑채에 방 한 칸을 얻어서 떠돌이 인생을 살고 있는데, 그는 어느 사이에 아내도 없고 같이 살던 집도 사라지고 살뜰한 부모와 형제들도 멀리 떨어졌다.
그는 갈대로 엮어서 만든 방에서, 그 방은 습기가 차서 춥고 냄새도 고약한데, 낮이나 밤이나 질그릇의 화톳불을 피워놓고, 그 불을 안고 손도 쬐고 또 그 불 위에 글자도 쓰며 때로는 낮잠도 자면서 세월을 보내고 있은 것이었다.
그러면서 그는 슬프고 어리석은 지난날을 회상하며 마치 소처럼 되새김질도 하는 것이었다.
그는 가슴이 꽉 메어 올 적이며,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무언가 부끄러워 얼굴이 화근 달아오를 적이며, 그래서 그는 슬픔과 어리석음에 괴로워서 죽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잠시 생각을 고쳐먹고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높은 천장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때 그의 뜻이며 힘으로, 그를 이끌어 가는 것이 힘들다는 사실을 생각하고, 그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무엇이 있음을 알고 여러 날을 지내는 동안에,
그의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을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저녁 무렵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데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 꿇어 반성도 해본다.
그런데 그때 어느 먼 산 바위 옆에 따로 외로이 서서, 날은 어두워 오는데 하얀 눈을 맞은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갈매나무는 꽃말이 <고향 생각>인데 그 나무가 바로 그의 분신이자 희망을 의미하리라. 그렇다. 모든 근심 걱정 털어내고 일어서자. 일이 서서 앞으로 나아가자. 고향으로 돌아가자. 새로운 인생길을 찾아서.
이 시는 백석이 남한의 잡지에 마지막으로 발표한 작품이다. 1948년 10월 <<학풍>> 창간호에 실렸다. 당시 남과 북은 사람의 왕래는 하지 못해도 편지로는 가능하던 시절이었다. 그래서 이 시는 누군가를 통해 남한으로 보내왔다. 그래서 백석의 남한 잡지에 실린 마지막 시가 되었다.
백석에 대하여 후배 시인 안도현은 <백석 평전>(다산북스 2014년)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같은 책 419쪽이다.
“해방 전 남한에서 그는 가장 주목받던 시인의 한 사람이었지만 해방 후 북한에서 시인으로서의 말년은 행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한 사람의 자연인으로 생을 마친 백석에 대해 우리는 그가 살아온 삶을 단정적으로 말하지 못한다. 삶은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삶은 정치나 역사에 의해 굴절되기도 하고 부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개개인이 겪는 특수한 순간들이 모여 삶의 전체를 구성하는 법이다. 시인으로서 백석은 방황과 절망의 쓴맛을 보았지만 한 사람의 인간으로 이승에서 보낸 시간을 결코 부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 시를 쓰는 자유를 내려놓음으로써 백석은 오히려 더 많은 자유를 누렸던 것은 아닐까?”
백석은 이후 1996년 1월에 북한의 양강도 삼수군 관평리에서 눈을 감았다. 그의 나이 여든다섯이었다. 안도현의 <<백석 평전>>, 일독을 권한다.
서석조의 <칫솔 장수 아지매> (3) | 2023.01.23 |
---|---|
김수영의 <눈> (1) | 2023.01.15 |
이재무의 <저녁 6시> (3) | 2022.12.25 |
공광규의 <소주병> (1) | 2022.12.18 |
함민복의 <부부> (1) | 2022.12.11 |
댓글 영역